본문 바로가기

영국품절녀 & 남 in UK306

영국에서 만난 재일 한국인, 왜 가슴이 울컥 저는 신랑과 함께 매 주 토요일 아침 일찍부터 오후 늦게까지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습니다. 금쪽같은 주말이지만, 이 한 몸 불살라 경제적으로 좀 더 나은 생활을 하기 위해 매 주 토요일에는 이를 악물고 일하러 나가고 있습니다. 사실 토요일 아침에는 좀 더 자고 싶은 생각이 간절히 들긴 하지만, 하루 일당을 생각하면 신랑과 저는 바로 이불을 박차고 일어나게 된답니다. ^^ 몇 주 전에 아르바이트를 하다가 한 여대생을 봤습니다. 그녀는 일본인들과 유창한 일본어로 대화를 하고 있었지만, 영어 역시 거의 원어민 수준이었습니다. 생김새도 약간 일본인하고는 좀 다르다는 느낌을 받았지요. 그리고는 몇 시간 뒤에 그녀와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생겼어요. 그녀: Where are you from? 나: South Korea.. 2012. 6. 9.
흑인과의 연애, 비뚤어진 시각에 할말 잃어 며칠전 일본 산케이 신문의 한국 지국장 구로다씨가 자신의 칼럼을 통해 "한국 여성이 흑인 남성과 사귀는 것을 예전에 일본 여성이 그랬던 유행을 따라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잊을 만하면 한번 씩 한국인의 여론을 자극하는 구로다가 이번에는 또 무슨 생각으로 이런 글을 올렸는지 그 의도가 다분히 의심스럽기는 합니다. 사실 그의 이번 기사는 한국의 다문화 현상을 설명하는 하나의 사례로 설명이 되었는데요, 그가 주장한 한국 여자와 흑인남자와의 연애가 과거 일본의 유행을 따른다는 말은 구로다의 또 하나의 망언으로 등극할 것 같습니다 . (출처:chosun.com) 사실 구로다씨는 한국어도 유창하고 한국에서도 오래 살아 한국의 사정을 가장 잘 아는 일본 언론인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우려스러운 것은 한국에서 오래 .. 2012. 6. 4.
해외 생활, 현지인과 결혼하면 좋은 이유 단순히 학업(어학연수), 여행 목적으로만 단기간 해외 생활을 했던(하는) 한국 사람들은 "해외 생활이 힘들다"의 강도를 크게 잘 느끼지는 못 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그들도 학업 스트레스 및 낯선 문화, 생활, 언어 적응 등으로 인해 안 힘들다는 것은 절대로 아닙니다. 제가 미혼일 때 영국에서 석사를 했었을 때에 분명 해외 생활이 쉽지만은 않았지만, 그 당시는 학업 스트레스 말고는 그럭저럭 해외 생활은 재미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가 결혼 후에 겁없이(?) 신랑을 따라 또 다시 영국으로 나올 수 있었을지도 모르겠네요. 해외에서 사는 한국인들은 현지에서는 자신이 이방인처럼 느껴집니다. 차라리 아주 어렸을 때부터 혹은 이 곳에서 태어나서 살면서 영국인과 같은 마인드를 가지고 터전을 이 곳에서 꾸리고 살.. 2012. 5. 29.
국제 결혼한 부부의 언어, 왜 꼭 영어인가? 영국에 살면서 국제 결혼한 커플들을 만나게 됩니다. 신랑 주변의 영국 교수들 혹은 친구들도 국제 결혼을 한 커플이 꽤 됩니다. 국제 커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문화 및 생활 환경이 전혀 다른 두 사람이 만나 함께 사는 것이 생각보다 쉽지는 않다고 합니다. 사소한 오해 및 언어 표현의 차이로 인해 마음에 상처를 곧잘 받게 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까요. 하긴 같은 국적에, 언어까지 같은 남녀가 살아도 힘든 법인데 말이지요. 영어권에서 사는 국제 결혼한 부부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한 가지 궁금한 것이 있었습니다. 항상 국제 결혼한 부부들은 자녀 언어 교육에만 큰 신경은 쓰는 반면, "부부간의 언어"는 관심 밖인 것 같아요. 국제 결혼한 부부는 왜 꼭 영어만 사용할까요? 국제 결혼한 부부간의 언어는 영어가 정답.. 2012.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