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국1214

남편따라 외국 나온 아내들의 실상, 어쩜 이래 저는 남편따라 외국 나온 아내 입니다. 그 동안 "남편따라 외국에 나온 한국 아내들에 대한 실상"에 대한 글을 몇 번 쓴 적이 있습니다. 해외에 있는 한국 아내들이 격하게 공감해 주셔서 좀 놀랐어요. 보통 한국의 미혼 혹은 기혼 여성들은 유학생 남편을 내조하면서 외국에 사는 아내들의 삶을 마냥 부러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제가 남편의 학업으로 인해 영국으로 간다고 했을 때 역시 주변의 제 친구들은 저를 부러워했답니다. 지금도 제가 한국을 방문할 때마다 주변인들을 통해 여전히 듣고 있습니다. 외국 나가서 살면, 남 눈치 및 시댁 눈치 안 보고 마음대로 편하게 랄라룰루~ 사는 줄 아나 봅니다. 거기다가 유럽 여행은 뭐 옆 동네 놀러 가듯이 가는 줄 알고요. 또한 한국 여자들이 좋아하는 명품 가방 등을 값싸게.. 2012. 7. 12.
국제 커플의 언어를 보는 또 다른 시선, 불편한가? 제가 전에 "국제 결혼한 부부의 언어, 왜 꼭 영어인가"라는 제목으로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여느 글처럼 호응을 해 주시기도 했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는 댓글도 있었습니다. 일부는 제 글의 요지를 오해하셨는지,당연히 만국 공용어인 영어만을 쓰는 게 맞다고 하시더군요. 저 역시 영어권 국가에서 살고 있으므로, 영어의 중요성은 한국에 있는 어느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으며 절실하게 필요하다는 것도 매일 느끼며 살고 있어요. 안 보신 분들을 위해 --> 국제 결혼한 부부의 언어, 왜 꼭 영어인가? 이 글은 국제 결혼한 부부들이 자녀의 언어 교육에는 관심을 가지면서 정작 가장 가까운 부부간의 언어에 대한 고민이 별로 없다는 사실과 함께 영어 사용만이 당연한것처럼 여기는 현실의 상황이 제 삼자가 보기에 다소 이.. 2012. 7. 11.
한국인이 만든 월남쌈, 정작 베트남인의 반응은 평소 친하게 지내던 한국, 베트남 아줌마가 약 4년 동안의 영국 생활을 마치고 귀국을 한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영국에서 살다보면, 잦은 만남과 함께 헤어짐도 항상 따르기 마련이지요. 이들과의 헤어짐이 너무 아쉬워 저를 포함한 몇 명의 친구들은 특별한 작별 파티를 해 주기로 했습니다. 대부분 아시아, 유럽에서 온 아줌마들로 매 달 한 번씩 모여 티 타임을 가지고 있지요. 작별 파티를 위해 서로 각 자 음식을 만들어 가져오는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했어요. 다른 한국 분들이 왠만한 한국 음식들을 다 준비하신다고 해서, 저는 무슨 요리를 해야하나 고민이 되었습니다. 파티를 주최하시는 분에게 물어보니, 대부분 칼로리가 높은 고기, 누들, 볶음밥 등이 대부분이라서 가볍게 먹을 수 있는 샐러드 식의 음식이 필요하겠다.. 2012. 7. 10.
한국 여자는 피부 미인, 외국 여자들은 부러워 어제 며칠 전 한국 TV에서 방영되었던 "코리안 뷰티 세계를 유혹하다" 라는 제목의 프로그램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 프로그램을 보면서, 저도 영국에서 실제로 경험하고 있는 "한국 화장품의 인기와 피부 미인인 한국 여자들"에 대해 이야기 해 볼까 합니다. 작년 겨울에 한국을 잠깐 방문했을 때에, 명동에 갔다가 정말 깜짝 놀랐던 광경이 바로 "아시아 여자들의 한국 화장품 사재기"였습니다. 많게는 한 번에 300만원 한치나 화장품들을 사가는 손님이 있을 정도라고 하니까요. 요즘 한 인터넷 사이트에 가보면, 아시아 여자들이 한국에서 구입해 온 화장품들을 자랑하고, 어느 화장품 가게가 더 많은 샘플을 주는지 후기를 남기는 등 "한국 화장품 사러 한국 가기 열풍"이 대단하더라고요. 제가 아는 홍콩 친구도 이번에 한.. 2012. 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