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품절녀 & 남 in UK300 해외 대학으로 몰려오는 국제 학교 출신 한국인 올해 영국 학부에 입학한 한국 학생들을 만날 기회가 있었어요. 깜짝 놀랐던 것은 대부분이 국제 학교 출신이라는 것입니다. 일부는 주재원인 부모님을 따라 해외에서 학창 시절을 보냈거나, 또는 부모님 혹은 본인 자신의 유학 결정에 따라 해외로 유학을 간 것이지요. 최근 영국 대학에 입학하는 90년대 초반에 태어난 학생들은 영미권보다는 비용이 다소 덜 부담스러운 동남 아시아에 있는 국제 학교 출신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실제로 2000년대 초반부터 동남아 조기 유학 광풍이 일기 시작했어요. 현재 40~50대 부모 세대는 일찌감치 자녀들을 영미권이 아닌 영어를 사용하는 동남아 국가로 조기 유학을 보내는 것이 큰 유행이었던 적이 있었거든요. 이를테면 말레이시아, 싱가폴, 필리핀, 홍콩, 태국, 인도 등등.... .. 2012. 10. 18. 털 고민 많은 한국인, 영국 오니 근심 사라져 한국에 살 때에는 잘 몰랐는데, 영국에 와서는 우리와 신체 조건이 상당히 다른 외국인들을 보면서 깜짝 놀랄 때가 많습니다. 이미 포스팅을 한 바 있듯이, 서양 여자들의 가슴 사이즈에 부럽기도 하고 놀랍기도 하지요. 오늘은 "털"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저는 여자이지만 털이 좀 많은 편이라서 그런지 털에 좀 민감한 편 입니다. 그래서 이미 영국에 오기 전에 겨드랑이는 영구 제모를 했답니다. 어찌나 편한지요. 다만 여름 철에 땀이 좀 더 많이 나는 것이 좀 단점이긴 하지만, 영국 여름은 기온과 습도가 낮아 땀을 흘릴 일이 별로 없습니다. 좀 아쉬운 것은 종아리 털도 레이저 제모를 하고 싶었으나, 가격이 너무 비싸서 포기해야만 했지요. 그 대신 괜찮은 제모기를 사서 영국에 왔어요. (출처: Goo.. 2012. 10. 17. 정치학도가 본 정치 쇄신, 정당 정치만이 정답일까? 안녕하세요? 영국 품절남입니다. 오늘은 한국 대선 주자들의 정치쇄신에 대해 제가 느낀 점을 조금 적어보려고 합니다. 요즘은 인터넷이 발달해서 외국에 있더라도 한국 뉴스를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습니다. 다만 현장감은 떨어지지요. 한국 사회의 변화에 대해서 인터넷 등을 통해 꾸준히 접하고는 있었지만 지난 여름에 한국에 있다 보니 역시 현장감이 떨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한국에 계신 분들에게는 헛다리 짚는 글로 보일 수도 있겠네요. 그 부분은 감안하고 읽어 주세요. 최근까지 대선주자들의 가장 큰 화두는 경제민주화였습니다. 사실 저 개인적으로 경제민주화라는 용어자체를 어떻게 정의해야 할 지 조금 어렵게 느껴집니다. 영어권 자료를 보아도 경제민주화라는 용어의 합의된 정의는 없습니다. 다만 대체로.. 2012. 10. 13. 주인도 먹지 않는 영국의 중국집, 불편한 진실 안녕하세요? 영국 품절남입니다. 오늘은 영국에서의 중국 음식입니다. 영국에서 살다 보니 저녁 식사를 만들어 먹기가 귀찮은 날이 종종 있습니다. 하긴 영국에서 살아서 그렇겠습니까? 한국에 있을 때에도 밥 하기 싫은 날에는 종종 치킨 등을 시켜 먹을 때가 있었죠. 어쨌든 돈이라도 풍족하다면 나가서 쉽게 외식을 하겠지만 영국의 물가를 고려하면 그것도 한 두 번입니다. 그래도 저녁 하기가 귀찮다면 결론은 – 적어도 지금까지는 – "중국 음식"이었습니다. 중국음식이 그나마 가격도 만만하고 푸짐하게 먹을 수 있기 때문이죠. 영국에는 –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겠지만 – 배달만 전문적으로 하는 중국 음식점도 꽤 많기 때문인지 영국 사람들도 중국음식에 대한 거부감이 별로 없습니다. 특히 현지인들은 주말에 중국 음식을 시켜.. 2012. 10. 9.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 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