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국품절녀 & 남 in UK/영국 품절남 글은 여기에90

영국 부재자 기적의 투표율, 정말 뿌듯해 영국 품절남입니다. 발표를 마치고 잠시 쉬고 있습니다. 연말이고 추워서 그런지 집에서 늘어지고 싶기만 하는 요즘입니다. 지난 월요일, 해외 체류 중인 한국인에 대한 부재자 투표가 끝이 났습니다. 부재자 신고를 한 투표권자중 약 71.2% (세계 평균)가 투표를 했다고 하네요. 지난 총선(국회의원 선거) 때에는 정당 투표밖에 할 수 없어서 그런지 열기가 그렇게 뜨겁지는 않았던 것 같은데, 이번 대통령 선거는 직접 대통령을 선출한다는 의미가 있어서 그런지 열기가 상당히 높았던 것 같습니다. 더군다나 부재자 신고를 이메일로 할 수 있었기에 젊은 사람들의 참여열기가 더 높았던 것이 아닌가 하네요. 올 여름 런던 올림픽 웸블리 구장에서 펼친 태극기, 해외에서 보면 뭉클해요. 제가 살고 있는 영국의 투표율은 78... 2012. 12. 14.
학업 시작과 끝인 유치원생-박사생의 생활, 동감 안녕하세요? 영국 품절남입니다. 다음주에 간단한 논문 발표가 있어서 약 2~3주동안 준비하느라 꽤 고생했습니다. 어제 오후에 제출하고 나니 시원섭섭하네요. 이젠 발표 준비를 잘해야 겠네요. 논문 제출하고 나서 인터넷을 뒤적거리다가 재미있는 그림을 발견했는데요. 제가 박사과정에 있다 보니 꽤 공감이 갔습니다. 지난번에 "박사생 VS 결혼" 비교 포스팅을 했다가 많은 호응과 비난을 한 몸에 받았는데요.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진 마시고 그냥 가볍게 보시고 웃어주세요. ^^ 오늘은 "유치원생 vs 박사생" 을 비교했습니다. (출처: www.phdcomics.com) 1. 하루 종일 낮잠을 자도 된다?? 제가 직장에 다니다가 박사과정에 들어와서 가장 힘들었던 것 중 하나가 점심 후 찾아오는 "식곤증"입니다. 직장.. 2012. 12. 7.
이코노미스트가 밝힌 지루한 한국 맥주맛, 왜? 안녕하세요. 영국 품절남입니다. 어제 한국 언론을 통해 영국 이코노미스트 잡지에 실린 "맛없는 한국 맥주" 에 대한 기사를 봤습니다. 특히 북한의 대동강 맥주와 비교한 대목도 있어서 읽어보니 꽤 흥미가 있었습니다. 한국 맥주 회사들은 이같은 혹평에 "나라별 특성과 소비자의 선호도를 몰라서 생긴 오해" 라며 일제히 반박 기사를 냈습니다. 과연 한국 맥주가 그토록 맛이 없을까요? 순전히 제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포스팅이니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지난 여름, 한국에 갔을 때, 지인들과 자주 어울렸습니다. 그 때 한국 맥주를 오랜만에 맛 보았는데, 약 2년 반 정도 영국 맥주의 맛에 적응이 되어서 그런지 확실히 “맛이 심심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그런지는 몰라도 제 친구들도 맥주만 따로.. 2012. 11. 29.
결혼과 박사 과정의 공통점, 바보가 하는 것? 안녕하세요? 영국품절남입니다. 오랜만에 글을 쓰게 되네요. 요즘 감기 기운이 있는지 몸이 으슬으슬 떨리네요. 오늘 우연히 인터넷을 검색하다가 재미있는 그림 하나를 봤습니다. 결혼 vs 박사과정 을 비교한 것인데요. 흥미롭기도 하고 약간 공감도 가서 소개해 볼까 합니다. (출처: PHDCOMICS By Jorge Cham ) 결혼 생활과 동시에 박사 과정 중인 제가 그림을 제 나름대로 분석해 볼게요. (단, 별로 언급할 것이 없는 3, 6번째는 자동 패스함을 알려 드립니다.) 1. 기간은 ?? 평균 결혼 유지 기간과 박사 학위를 받는데 걸리는 시간을 비교한 것 같습니다. (미국인 것 같아요.) 미국인의 평균 결혼 지속 기간이 "7년 반"인 것은 처음 알았습니다. 궁금해서 영국을 찾아보니, "11년 6개월".. 2012. 11. 15.